TCP: TCP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이다. 일반적으러 TCP와 IP가 함께 사용되는데, IP가 데이터 전송을 처리한다면 TCP는 패킷 추적 및 관리를 하게 됩니다.
연결 지향형인 TCP는 3-way handshaking이라는 과정을 통해 연결 후 통신을 시작하는데, 흐름 제어와 혼잡 제어를 지원하면 데이터의 순서를 보장합니다.
흐름 제어: 보내는 측과 받는 측의 데이터 처리속도 차이를 조절해주는 것
혼잡 제어: 네트워크 내의 패킷 수가 넘치게 증가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
UDP: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로써, 인터넷상에서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정보를 보낸다는 신호나 받는다는 신호 절차를 거치지 않고 보내는 쪽에서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TCP와는 다르게 연결 설정이 없으며, 혼잡 제어를 하지 않기 때문에 TCP보다 전속 속도가 빠릅니다. 그러나 데이터 전송에 대한 보장을 하지 않기 때문에 패킷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통점: 데이터를 전송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이다.
차이점: TCP는 IP와 함께 사용되어 흐름제어와 혼잡제어가 있고 안정적.
UDP는 비연결형. 신호를 받는다는 절차를 거치지 않고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함 패킷손실 발생가능성 있음
'개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의 차이점 (0) | 2023.05.21 |
---|---|
session과 cookie의 차이점과 사용용도 (0) | 2023.05.21 |
트렌젝션이란? (0) | 2023.05.21 |
@SpringBootTest와 @WebMvcTest의 차이점 (0) | 2023.05.21 |
Spring 에서 사용하는 Rest Client (0) | 2023.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