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 공부

이해가 안 가서 글 적으면서 공부하려고 만드는 페이지

https://teamsparta.notion.site/Spring-d6f240ba3fa1444281b6d470963f276e

참고.

 

Spring 입문 학습 자료

주차 목표

teamsparta.notion.site

  • 웹 동작 방식 이해하기

1. ip주소란?

거대한 네트워크 망에서 우리의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2.브라우저란?

우리가 사용하는 크롬, 사파리, 엣지와같이 웹페이지, 이미지, 비디오등의 컨텐츠를 송/수신하고 표현해주는 소프트웨어.

브라우저는 우리가 보내는 신호를 OSI 7계층을 거쳐, 랜선을 통해 0과 1로 이루어진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흘러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응용프로그램

3.DNS란?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ip주소를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naver.com or goole.com으로 변환시켜주는 프로그램.

4.http란?

요청을 보내고 받는 상호간의 약속이라는 개념을 프로토콜 이라고 하고, http는 프로토콜의 일종.

5.API란?

요청이 서버에 도착하면 api라는 창구에 도착하는데, api는 다른 소프트 웨어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따라야하는 규칙을 정의하고 있다.

6.인터페이스란?

서로 다른 두 개의 시스템, 장치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는 경우의 접점이나 경계면이다. 즉, 사용자가 기기를 쉽게 동작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7.RESTful API란?

*REST란?

rest는 api작동 방식에 대한 조건을 부과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RESTful 웹 서비스

rest이키텍처를 구현하는 웹 서비스

서버의 api가 적절하게 http를 준수하며 잘 설계되어있으면 RESTful 하게 설계되어 있다고 당분간은 이해

8. 아키텍처

서비스 로직이 커져갈수록 연관된 데이터는 훨씬 더 많아지고, 처리해야할 로직은 더 복잡해지고, 심지어 이것들이 맞물려 프로그램의 복잡도는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간다.

이런 실패로써 얻은 교훈이 많은 자료와 사례를 남겼고 ~~아키텍처 또는 ~~패턴이라고 부른다.

9. 레이어드 아키텍처(패턴)

3계층으로 이루어짐

Presentation 계층 - @Controller표현

Domain 계층 -@Service표현

DataAccess계층 -@Repository표현

10.Database

데이터의 집합.

DBMS = Database Management System’ 의 약자로 Database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

 

RDBMS는 ‘Relational DBMS’의 약자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라고 불림

RDBMS는 테이블(table)이라는 최소 단위로 구성되며, 이 테이블은 열(column)과 행(row)으로 이루어져 있다.

ka123 카즈하 010-7777-7777 르세라핌 1 row
kim123 김채원 010-6666-6666 르세라핌 2 row
sa123 사쿠라 010-8888-8888 르세라핌 3 row
heo123 허윤진 010-0000-0000 르세라핌 4 row
hong123 홍은채 010-1111-1111 르세라핌 5 row

11.SQL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 의 약자로 RDBMS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https://kingscoding.tistory.com/21

 

SQL연습

제약조건 AUTO_INCREMENT : 컬럼의 값이 중복되지 않게 1씩 자동으로 증가하게 해줘 고유번호를 생성해 줍니다. NOT NULL : 해당 필드는 NULL 값을 저장할 수 없게 됩니다. UNIQUE : 해당 필드는 서로 다른

kingscoding.tistory.com

12.JPA란?

SPL이 너무 번거로워서 생긴 api

JPA 연습 git 주소

https://github.com/kingscode99/Sparta_Spring_exam.git

'개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L  (1) 2023.01.03
SQL연습  (0) 2022.12.26
WIR  (0) 2022.12.25
내가 보려고 만든 JAVA객체지향 총정리  (0) 2022.12.15
None값의 정의  (0) 2022.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