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DI 란?
스프링이 다른 프레임워크와 차별화 되어 제공하는 의존 관계 주입 기능이다.
객체를 직접 생성 하는게 하니라 외부에서 생성한 후 주입 시켜주는 방식이다.
예를들어, a객체에서 b,c객체를 의존할때, a객체에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외주에서 생성된 b,c객체를 생성자를 통해 사용한다.
- 2. loc란?
Inversion of Control의 약자. "제어의 역전" 이라는 의미로, 말 그대로 메소드나 객체의 호출작업을 개발자가 결정하는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에는 다음과 순서로 객체가 만들어지고 실행되었다.
- 객체 생성
- 의존성 객체 생성
클래스 내부에서 생성 - 의존성 객체 메소드 호출
하지만, 스프링에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객체가 만들어지고 실행된다.
- 객체 생성
- 의존성 객체 주입
스스로가 만드는것이 아니라 제어권을 스프링에게 위임하여 스프링이 만들어놓은 객체를 주입한다. - 의존성 객체 메소드 호출
- 3. been이란?
스프링에서는 객체를 Been이라고 부르며, 프로젝트가 실행될때 사용자가 Bean으로 관리하는 객체들의 생성과 소멸에 관련된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해 주는데 객체가 생성되는 곳을 스프링에서는 Bean 컨테이너라고 부른다.
'개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란? (0) | 2023.03.28 |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0) | 2023.03.27 |
SQL연습 (0) | 2022.12.26 |
이해가 안 가서 글 적으면서 공부하려고 만드는 페이지 (0) | 2022.12.26 |
WIR (0) | 2022.12.25 |